티스토리 뷰
*참고* Fp : First point / Sp : Second point
제 1장 화학의 기초
1.4 측정의 불확정성 [측정 = 수 + 척도(단위)]
Fp) 측정의 불확정성
= 측정은 항상 어느 정도의 불확정성을 가진다. (측정하는 사람, 측정기구에 따라)
Tp) 유효 숫자란 무엇인가?
- 측정에서의 불확정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기록하는 것
- 항상 확실한 자리수와 불확실한 첫 번째 자리 수(추정한 숫자)
Ex 1) 1.93kg 이라는 측정값 = 1.93 ± 0.01kg
Ex 2) 15mL 와 15.00mL의 차이?
=> 15mL는 부피가 14mL와 16mL 사이에 있음을 의미
=> 15.00mL는 부피가 14.99mL와 15.01mL 사이에 있음을 의미
TIP!) 오차 범위와 표기 차이 의미는 다릅니다!
=> 예시 1에 쁠마 표시 뒤에 0.01은 이 정도까지 구분되는 측정기구를 사용했다 정도로 해석해주시면 되고, 이게 오차 범위를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. 오차 범위는 예시를 들자면
1.93일 경우 0.01의 반인 0.005를 더하고 빼서 오차범위는 1.925~1.935 가 되는 것입니다!
# 따라서 적절한 유효숫자의 사용이 중요!
± 0.01mL까지 읽을 수 있는 뷰렛으로 측정했다면 꼭 15.00mL로 기록해야 함.
그래야만 나중에 이 결과를 이용할 때 계산 시의 측정값의 불확정성 추정 가능
Tp) 정밀도와 정확도 (측정의 신뢰도를 나타낼 때 쓰임)
1. 정밀도 : 측정값이 참값에 얼마나 근접하고 있는지
2. 정확도 : 같은 양을 여러 번 측정시 측정값이 얼마나 서로 비슷한지
English Words
1) 불확정성 : uncertainty
2) 유효 숫자 : significant figure
3) 정밀도 : precision
4) 정확도 : accuracy
'STUDY(학문) > 일반화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1-6 온도와 온도 환산 (0) | 2020.02.16 |
---|---|
#1-5 유효 숫자와 계산 (0) | 2020.02.15 |
#1-3 측정단위 (0) | 2020.02.11 |
#1-2 과학적 방법 (0) | 2020.02.10 |
#1-1 화학 : 개요 (0) | 2020.02.10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#정밀도
- #유소의 일반화학
- #유소
- #모두가 힘든 이유
- #길이로부터 부피 유도
- #과학적 방법
- #탄화수소 유도체의 종류
- #가설
- #
- #SI 단위 접두사
- #지킬게 많아서
- #정확도
- #측정의 불확정성
- #모형(이론)
- #정밀도와 정확도의 차이
- #자연법칙과 이론의 차이점
- #유효숫자
- #접두사
- #일반화학
- #탄화수소 유도체
- 일반화학 #유소 #유소의 일반화학 #화학 질문
- # 유소
- 이별 문구 #다퍼준 연애 #나만 사랑한 연애 #비참하다
- #버티는 이유
- #유소의 문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